스킵네비게이션

통합검색SEARCH

ABOUT DONG-A 학교소개

연혁

HISTORY

깨우고 함께하는 대학
동아대학교

1999

  1. 12 21
    • 인터넷창업보육센터 설치
  2. 12 8
    • 교육부로부터 두뇌한국21사업 핵심사업분야에 경영정보과학부의 에이전트기반상거래지원팀이 선정
  3. 11 26
    • 부산광역시 서구청과 교류협약체결
  4. 11 2
    • 산업대학원 신발산업공학과, 항만물류시스템학과 신설, 유통산업학과 폐지, 산업공학과를 산업시스템공학과로 명칭 변경
    • 경영대학원 경영학과에 선물거래전공 신설, 경제학전공, 행정학전공, 공정관리전공, 품질관리전공 폐지.
    • 재무관리전공을 증권. 금융전공으로, 생산. OR전공을 운영관리전공으로, 마아케팅전공을 마케팅전공으로 명칭 변경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원예학과와 농화학과를 생명자원과학과로 통합, 산업공학과를 산업시스템공학과로 명칭 변경, 박사학위과정의 원예학과를 생명자원과학과로, 산업공학과를 산업시스템공학과로 명칭 변경, 학연산 협동과정에 부산발전연구원 법학과, 학과간 협동과정에 음악문화학과 신설동북아국제대학원 설치
  5. 11 1
    • 전자상거래지원센터 설치
  6. 10 14
    • 공과대학의 기계공학과와 산업시스템공학과를 기계.산업시스템공학부로, 화학공학과와 금속공학과를 재료금속.화학공학부로 통합
  7. 8 31
    • 교육부로부터 두뇌한국21사업 지역대학 육성사업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와 기계. 산업시스템공학부가 선정
  8. 8 24
    • 정보통신연구소와 경영정보연구소를 통합하여 정보기술연구소로 기구개편
  9. 8 11
    • 농업자원연구소와 유전공학연구소를 통합하여 농업생명과학연구소로, 생명과학연구소와 임상의학연구소를 통합하여 의과학연구소로 기구 개편
  10. 7 23
    • 부산시로부터 부산테크노파크 사업시행자로 선정
  11. 3 4
    • 사회과학대학과 일본 쯔쿠바대학 사회과학부(筑波大學 社會科學部)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12. 3 1
    • 엄영석 제10대 총장 취임
  13. 2 28
    • 이태일 총장 이임
  14. 2 24
    • 창업보육센터 설치
  15. 2 12
    • 산학협력관 준공
  16. 1 26
    • 숙명여자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체결
  17. 1 14
    • 공동기기센터 설치

1998

  1. 12 22
    • 영남대학교, 원광대학교, 조선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체결
  2. 12 7
    • 생명자원과학대학과 일본 오카야마 농학부(岡山大學 農學部)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3. 11 11
    • 마카오관광대학(旅遊學院)과 자매결연협정체결
  4. 10 19
    • 공과대학 산업공학과를 산업시스템공학과로 명칭 변경
    • 공과대학 건설공학부를 토목ㆍ해양공학부로 명칭 변경경영대학 경영정보 및 통계학부를 경영정보과학부로 명칭 변경
    •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야간)을 정치행정학부(야간)로 명칭 변경
    • 인문과학대학 외국어문학부(야간)을 서양어문학부(야간)로 명칭 변경
    •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를 정치행정학부와 사회언론광고학부로 분리
    • 인문과학대학 외국어문학부를 서양어문학부와 중국ㆍ일본학부로 분리
  5. 9 14
    • 아.태관광연구소와 미국 휴스톤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Tourism Industry Institute, Univ. of Houston)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6. 9 2
    • 국제관광통상학부와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 환대경영학과(Dept. of Hospitality Management, San Francisco State Univ.)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7. 9 1
    • 의과대학 부설 생명과학연구소, 산업의학연구소, 임상의학연구소를 동아대학교 부설 생명과학연구소, 산업의학연구소, 임상의학연구소로 소속 변경
    • 예술대학 부설 조형연구소를 동아대학교 부설 조형연구소로 소속 변경
    • 공과대학 부설 건설기술연구소, 해양자원연구소, 생산기술연구소, 정보통신연구소를 동아대학교 부설 건설기술연구소, 해양자원연구소, 생산기술연구소, 정보통신연구소로 소속 변경
    • 생명자원과학대학 부설 농업자원연구소를 동아대학교 부설 농업자원연구소로 소속 변경생활과학대학 부설 생활과학연구소를 동아대학교 부설 생활과학연구소로 소속 변경
    • 인문과학대학 부설 인문과학연구소를 동아대학교 부설 인문과학연구소로 소속 변경
    • 공과대학 부속 전산실습실 폐지
    • 생명자원과학대학 부속농장, 부속연습림, 부속목장을 동아대학교 부속 종합농장으로 통합
  8. 6 20
    • 아.태관광연구소와 호주 머독대학교 관광연구센터(Cooperative Research Center for Tourism, Murdoch Univ.)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9. 5 1
    • 국제관광정보센터 설치지능형통합항만관리연구센터 설치
  10. 4 22
    • 경영대학 부설 관광레저연구소를 동아대학교 부설 아.태관광연구소로 소속 및 명칭 변경
  11. 4 16
    • 일본 가나자와대학(金澤大學)과 자매결연협정체결
  12. 4 15
    • 아.태관광연구소와 중국 항주대학 관광연구소(杭州大學 旅遊硏究所)간의 자매결연협정 체결
  13. 4 4
    • 지능형통합항만관리연구센터가 과학기술부.한국과학재단의 지역협력연구센터로 선정
  14. 3 11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학종합평가인정을 받음
  15. 1 31
    • 정책과학대학원의 지방자치전공, 도시 및 환경정책전공, 사회복지전공을 지방자치행정전공과 사회복지전공으로 개편

1997

  1. 11 24
    •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과 자매결연협정체결
  2. 11 12
    • 국제관광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부의 지방대학특성화 재정지원대학으로 선정
  3. 11 5
    • 경영대학의 관광경영 및 무역학부를 국제관광통상학부로 명칭 변경
  4. 10 25
    • 대학원 박사학위과정에 컴퓨터공학과, 산업대학원에 도시조경학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의 천연섬유학과와 의류학과를 의상섬유학과로 통합
  5. 7 11
    • 일본 구주국제대학(九州國際大學)과 자매결연협정체결
  6. 3 24
    • 공과대학과 미국 워싱턴대학교 공과대학(The Univ. of Washington College of Engineering)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7. 2 14
    • 해군사관학교와 학술교류협정체결

1996

  1. 12 4
    • (Ecole des Arts Decoratifs de Strasbourg)과 자매결연협정체결중국 중앙공예미술학원(中央工藝美術學院) 및 프랑스 스트라스부르그장식미술대학
  2. 11 26
    • 중국 북경어언문화대학(北京語言文化大學)과 자매결연협정체결
  3. 11 16
    • 의과대학과 중국 상해의과대학(上海醫科大學)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4. 11 2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자원경제학과, 조경학과, 박사학위과정에 관광경영학과 신설인가
    • 정책과학대학원 설치 및 지방자치전공, 도시 및 환경정책전공, 사회복지전공 신설
  5. 10 30
    • 교육대학원에 전기교육전공, 관광경영전공 신설인가
  6. 10 24
    • 학부제 추가실시에 따라 인문학부, 한국어문학부, 외국어문학부, 자연과학부, 식품과학부, 의상섬유학부, 법학부, 사회과학부, 경제학부, 경영학부, 관광경영 및 무역학부, 경영정보 및 통계학부, 도시조경학부, 지구환경공학부, 미술학부, 음악학부의 16개 학부 설치
  7. 10 9
    • 진해시와 보배캠퍼스(가칭) 조성에 따른 기본협약체결
  8. 9 20
    • 동의대, 부경대, 부산여대, 부산외국어대와 국제전문인력양성을 위한 협력체제수립에 관한 협정체결
  9. 9 5
    • 대구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체결
  10. 8 6
    • 경성대, 동서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여대, 부산외국어대, 한국해양대 등 부산지역 7개 대학과 학술교류협정체결
  11. 7 31
    • 예술대학과 일본 타마미술대학(多摩美術大學)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12. 7 3
    • 부산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체결
  13. 6 21
    • 교육대학원 부설 중등교원연수원 개설인가
  14. 2 28
    • 공과대학과 일본 오사카대학(大阪大學) 기초공학부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15. 2 1
    • 전자계산소를 종합정보센터로 개편

1995

  1. 12 21
    • 인구문제연구소를 인구 및 지역발전연구소로 개편
  2. 10 23
    • 교육대학원에 유아교육전공, 한문교육전공, 무용교육전공 신설인가
  3. 10 4
    • 의과대학에 간호학과 신설학부제 실시에 따라 생명자원과학부, 건설공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체육학부의 4개 학부 설치농과대학을 생명자원과학대학으로 농업경제학과를 자원경제학과로 각각 대학 및 학과 명칭 변경
  4. 9 12
    • 한국자원개발연구소를 건설기술연구소로 개편
  5. 6 29
    • 일본 히메지 공업대학(姬路工業大學)과 자매결연협정체결
  6. 6 1
    • 경영정보연구원을 경영정보연구소로 개편
  7. 3 1
    • 이태일 제9대 총장 취임
  8. 2 28
    • 이상윤 총장 이임
  9. 2 8
    • 석당홀 및 석당갤러리 개관
  10. 2 1
    • 산학협력연구센터 설치
  11. 1 25
    • 동아대학교 병원을 동아의료원으로 승격

1994

  1. 12 20
    • 경영정보교육원을 경영정보연구소로 개편
  2. 10 21
    • 산업대학원의 전자공학과를 전자통신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 교육대학원에 사회교육전공, 일본어교육전공 신설인가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경영정보학과, 박사학위과정에 회계학과 신설인가
    • 언론홍보대학원 설치 및 신문방송학과, 광고홍보학과 신설인가

1993

  1. 12 29
    • 사회교육원 설치인가
  2. 9 4
    • 박사학위과정에 물리학과 신설인가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신문방송학과, 관광경영학과 설치인가
  3. 8 19
    • 중국 북경제2외국어대학(北京第二外國語學院)과 자매결연협정체결
    • 경기지도자연수원 설치인가
  4. 3 25
    • 유전공학연구소 및 인문과학대학에 인문과학연구소, 생활과학대학에 생활과학연구소, 의과대학에 임상의학연구소 설치인가
    • 공과대학 전산공학과를 컴퓨터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5. 3 1
    • 이상윤 제8대 총장 취임
  6. 2 28
    • 이태일 총장 이임

1992

  1. 11 27
    • 의과대학과 일본 고오베 아사히병원(神戶朝日病院)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2. 11 20
    • 의과대학과 일본 고오베대학(神戶大學) 의학부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3. 10 7
    • 보건진료소 개소
  4. 7 28
    • 박사학위과정에 농생물학과, 해양공학과, 식품영양학과 신설 인가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농화학과, 회계학과 신설 및 전산공학과를 컴퓨터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5. 7 14
    • 카자흐공화국 국립체육대학(Kazakh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과 자매결연협정체결
  6. 4 16
    • 농과대학에 한국농업기술연구소를 농업자원연구소로 명칭 변경
    • 공과대학에 생산기술연구소, 정보통신연구소 및 예술대학에 조형연구소 설치인가
  7. 1 24
    • 이태일 제7대 총장 취임

1991

  1. 12 31
    • 손병규 총장 이임
  2. 11 2
    • 동아대학교 부속병원을 동아대학교 병원으로 명칭 변경
  3. 10 22
    • 예술대학에 기악과 신설생활과학대학을 설치하고 자연과학대학의 가정관리학과, 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를 생활과학대학으로 학과소속 변경
  4. 3 9
    • 경영정보교육원, 생활체육지도자연수원 설치인가
  5. 3 1
    • 손병규 제6대 총장 취임
  6. 2 28
    • 신순기 총장 이임

1990

  1. 10 16
    • 인문과학대학 일어일문학과의 야간강좌 폐지
  2. 3 26
    • 부속병원 준공 및 개원
  3. 2 7
    • 의과대학에 산업의학연구소와 종합실험실습실 설치
    • 농과대학 잠사학과를 천연섬유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4. 1 19
    • 여학생교양실 폐지
  5. 1 17
    • 미국 프레스노 캘리포니아 주립대학(California State University, Fresno)과 자매결연협정체결
  6. 1 1
    • 의과대학과 미국 베일러 의과대학(Baylor College of Medicine)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1989

  1. 11 6
    • 경영대학원의 경영학과, 경제행정학과, 공업경영학과가 경영학과로 통합 조정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의류학과, 해양공학과 신설
  2. 10 26
    • 의과대학과 미국 텍사스 의학재단 및 휴스톤 종합의료원(Texas Medical Science Foundation and Houston Medical Institute)간의 자매결연협정체결
  3. 5 15
    • 공과대학 제4호관 및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실험실습실 준공
  4. 3 31
    • 새마을연구소 폐지경영대학에 관광레저연구소 및 의과대학에 생명과학연구소 설치인가
  5. 3 1
    • 신순기 제5대 총장 취임
  6. 2 27
    • 정수봉 총장 이임

1988

  1. 12 22
    • 학생회관 증축
  2. 11 30
    • 산업대학원을 설치하고 산업공학과, 건설공학과, 기계공학과, 전산공학과, 환경관리학과, 유통산업학과, 화학공학과를 신설
  3. 11 4
    • 베네수엘라 오리엔떼대학(Universidad de Oriente)과 자매결연협정체결
  4. 10 29
    • 공과대학 야간강좌개설학과를 폐지, 주간학과로 통합 개편
  5. 8 25
    • 영국 리버풀대학(The University of Liverpool)과 자매결연협정체결
  6. 8 16
    • 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을 승학캠퍼스로 이전

1987

  1. 11 9
    • 박사학위과정에 무역학과, 원예학과, 전기공학과, 도시공학과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사회학과, 자원공학과를 신설
  2. 10 23
    • 인문과학대학에 한문학과, 사회과학대학에 신문방송학과, 농과대학에 농화학과, 예술대학에 섬유미술학과를 신설
    • 문과대학을 인문과학대학으로, 공과대학의 도시계획학과를 도시공학과로 각각 대학 및 학과명칭 변경
  3. 8 21
    • 승학캠퍼스에 경영대학건물 준공 및 이전
  4. 4 17
    • 일본 츄우쿄오대학(中京大學)과 자매결연협정체결
  5. 3 31
    • 하단캠퍼스를 승학캠퍼스로, 대신동캠퍼스를 구덕캠퍼스로 캠퍼스 명칭 변경
  6. 2 20
    • 하단캠퍼스에 학군단 건물 준공

1986

  1. 11 29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의 도시계획학과를 도시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2. 11 6
    • 문과대학에 고고미술사학과를 신설
    • 이과대학을 자연과학대학으로 대학명칭 변경의과대학 설치 및 의학과 신설
  3. 9 1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을 3계열에서 4계열로 변경하여 인문계열의 회화과, 음악학과, 응용미술학과를 예능계열로 계열 변경
  4. 6 10
    • 중화민국 중국문화대학(中國文化大學)과 자매결연협정체결
  5. 4 10
    • 여학생교양실 설치

1985

  1. 11 15
    • 문과대학에 국민윤리학과, 경영대학에 경영정보학과, 공과대학에 해양공학과를 신설
  2. 11 1
    • 하단캠퍼스에 제1학생회관 준공
  3. 9 8
    • 정수봉 제4대 총장 취임
  4. 8 15
    • 하단캠퍼스에 대학본부와 문과대학 건물 준공 및 이전
  5. 8 5
    • 제1캠퍼스를 대신동캠퍼스, 제2캠퍼스를 하단캠퍼스로 캠퍼스 명칭 변경
  6. 3 28
    • 법학연구소 설치인가

1984

  1. 11 27
    • 경영대학원에 관광경영학전공 신설박사학위과정에 독어독문학과, 생물학과, 체육학과, 산업공학과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회화과, 음악학과, 응용미술학과, 농생물학과를 신설하고, 공업경영학과를 산업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2. 10 5
    • 이과대학에 의예과, 경영대학에 관광경영학과 야간강좌, 농과대학에 조경학과, 체육대학에 사회체육학과를 신설
    • 법정대학, 상경대학을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으로 조정개편
  3. 8 29
    • 독일학연구소 및 공과대학에 해양자원연구소, 재료실험실 설치 인가
  4. 2 16
    • 한국공해문제연구소를 환경문제연구소로 명칭 변경부속목장, 한국농업기술연구소, 공과대학에 부속공장, 한국자원개발연구소를 각각 설치
    • 이과대학에 기초과학실험실습실, 기초과학연구소, 농과대학에 부속농장, 부속연습림, 기초과학실험실습실 폐지

1983

  1. 10 29
    • 경영대학원 경영학과의 무역관리전공 폐지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식품영양학과, 잠사학과를 신설
  2. 9 9
    • 제2캠퍼스 체육관 준공
  3. 9 8
    • 체육대학에 경기지도학과를 신설
    • 공과대학에 전산공학과를 신설, 공업경영학과를 산업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 문과대학의 독어독문학과 야간강좌 폐지, 일어일문학과 신설문과대학의 회화과, 음악교육과, 응용미술학과를 예술대학의 회화과, 음악학과, 공예과, 산업미술과로 조정 개편
    • 예술대학 설치 및 조소과 신설
  4. 8 1
    • 교수회관 준공
  5. 5 24
    • 역사문화연구소와 한국민속문화연구소를 석당전통문화연구원으로 통합 개편, 사회과학연구소, 스포츠과학연구소 설치, 사회개발연구소, 방사선물리연구소 폐지
  6. 2 25
    • 영자학보(The Dong-A Herald) 창간

1982

  1. 11 22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생물학과 신설
  2. 10 5
    • 문과대학에 중어중문학과를 신설
    • 체육대학 설치 및 무용학과 신설, 이과대학의 체육학과를 체육대학으로 학과소속 변경
  3. 10 1
    • 사회개발연구소와 한국비교공법연구소를 사회과학연구소로 통합 개편
  4. 8 20
    • 독일뮌헨대학(Ludwig-Maximilians Universitat Munchen)과 자매결연협정체결
  5. 2 18
    • 방사선물리연구소, 보건진료소 설치어학연습실을 어학연구소로 개편

1981

  1. 11 25
    • 경영대학원에 경제행정학과, 공업경영학과 설치
    • 박사학위과정에 교육학과를 신설, 토목학과를 토목공학과로, 위생공학과를 환경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 석사학위과정의 상학과를 경영학과로, 건축학과를 건축공학과로, 토목학과를 토목공학과로, 기계학과를 기계공학과로, 위생공학과를 환경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 대학원 계열별 학생정원제를 총정원제로 변경
  2. 10 20
    • 이과대학에 의류학과, 상경대학에 응용통계학과, 농과대학에 농업경제학과, 공과대학에 자원공학과를 각각 신설
  3. 9 8
    • 정수봉 제3대 총장 취임
  4. 8 29
    • 제2도서관 개관제2캠퍼스에 이과대학과 농과대학을 이전
  5. 3 2
    • 한국비교공법연구소 설치
  6. 3
    • 고전연구소를 문과대학 부설 역사문화연구소로 명칭 변경
    • 전자계산소 개소

1980

  1. 11 26
    • 공과대학 3호관 준공
  2. 11 24
    • 교육대학원에 교육상담전공, 독어교육전공, 국민윤리교육전공, 공예교육전공을 신설
  3. 11 3
    • 박사학위과정에 행정학과, 금속공학과, 화학공학과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독어독문학과, 물리학과를 신설
  4. 10 2
    • 문과대학의 일본어학과를 일어일문학과로, 이과대학의 가정학과를 가정관리학과로, 공과대학의 위생공학과를 환경공학과로, 공업화학과를 화학공학과로 각각 학과명칭 변경
    • 문과대학에 불어불문학과, 법정대학에 사회학과를 신설2부대학을 폐지하고 야간강좌개설학과로 개편정법대학을 법정대학으로 대학명칭 변경

1979

  1. 12 5
    • 박사학위과정에 정치학과, 전자공학과, 위생공학과, 기계공학과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교육학과를 신설
  2. 9 22
    • 공과대학의 전기제어공학과를 전기공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 문리과대학을 문과대학과 이과대학으로, 법경대학을 정법대학과 상경대학으로 각각 분리 개편
  3. 4 18
    • 공과대학을 사하구 하단동의 신축 제2캠퍼스로 이전
  4. 4 10
    • 도시문제연구소, 에너지연구소, 법경대학의 사회보장문제연구소, 농과대학의 한국가축비육연구소 및 공과대학의 한국공장관리연구소를 폐지
    • 사회개발연구소 설치

1978

  1. 12 30
    • 교육대학원에 상업교육전공, 기계교육전공을 신설
    • 박사학위과정에 경영학과, 수학과를 신설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행정학과, 무역학과를 신설
  2. 10 7
    • 2부대학에 독어독문학과, 행정학과, 무역학과, 회계학과, 공업경영학과, 공업화학과, 금속공학과를 신설
    • 미술학과를 회화과로 학과명칭 변경문리과대학에 생물학과, 응용미술학과를 신설
  3. 10 5
    • 실험대학 대상 확대승인(문리과대학, 농과대학, 공과대학)
  4. 8 17
    • 독일아헨공과대학(Rheinisch- Westfat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과 자매결연협정체결
  5. 2 4
    • 동아대학교 병설실업초급대학 폐지
  6. 1 24
    • 문리과대학에 기초과학실험실습실 설치

1977

  1. 12 31
    • 문리과대학에 독어독문학과, 일본어학과, 식품영양학과, 법경대학에 회계학과, 2부대학에 전기공학과를 신설
  2. 11 1
    • 석당 정재환 박사 동상 건립
  3. 9 12
    • 실험대학 승인(법경대학)
  4. 5 20
    • 새마을연구소 설치
  5. 1 27
    • 경영문제연구소, 문리과대학에 한국민속문화연구소 설치인가
  6. 1 15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 및 박사학위과정의 학과별 학생정원제를 계열별 학생정원제로 변경

1976

  1. 1 30
    • 박물관의 국보관 준공
  2. 1 22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위생공학과, 금속공학과, 전기공학과를 신설

1975

  1. 12 30
    • 법경대학에 행정학과, 문리과대학에 물리학과를 신설
  2. 11 30
    • 중앙도서관, 대강당 및 학생회관의 증.개축
  3. 9 1
    • 석당학술연구장려회 발족
  4. 6 28
    • 학도호국단 창단
  5. 6 26
    • 정수봉 제2대 총장 및 정재환 명예총장 취임

1974

  1. 12 21
    • 법경대학에 무역학과 신설, 지역사회개발학과 폐지
  2. 3 1
    • 문리과대학의 회화과를 미술학과로 개편
    • 에너지연구소 설치

1973

  1. 12 29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원예학과, 전자공학과를 신설
  2. 12 28
    • 공과대학의 응용화학과를 공업화학과로, 분말야금공학과를 금속공학과로, 제어공학과를 전기제어공학과로 개편
  3. 9 19
    • 인구문제연구소, 도시문제연구소 설치
  4. 8 30
    • 제2본관 및 공과대학 별관 준공
  5. 7 23
    • 시민하계 교양강좌 개설
  6. 4 17
    • 문리과대학 교사 증축
  7. 1 9
    • 교육대학원을 설치하고 교육행정전공, 교육심리전공, 교육방법전공, 국어교육전공, 영어교육전공, 일반사회교육전공, 역사교육전공, 수학교육전공, 물리교육전공, 화학교육전공, 육전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체육교육전공, 미술교육전공, 음악교육전공, 공업교육전공, 농업교육전공을 신설

1972

  1. 12 26
    • 공과대학의 금속공학과를 분말야금공학과로, 화학공학과를 응용화학과로, 전기공학과를 제어공학과로 개편
    • 문리과대학에 교육학과, 법경대학에 관광경영학과를 신설
  2. 10 13
    • 구덕관 준공
  3. 8 15
    • 체육교육상(표범상) 건립
  4. 6 22
    • 농과대학 연구교사 준공
  5. 5 5
    • 한국공해문제연구소 설치
  6. 3 2
    • 법경대학에 사회보장문제연구소 설치
  7. 1 22
    • 박사학위과정에 화학과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도시계획학과를 신설

1971

  1. 12 31
    • 법경대학에 지역사회개발학과 신설
  2. 10 7
    • 지독료 발족
  3. 3
    • 어학연습실 설치
  4. 1 23
    • 박사학위과정에 토목학과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공업경영학과, 화학공학과를 신설

1970

  1. 12 31
    • 2부대학에 전자공학과를 설치
    • 문리과대학의 성악과를 음악교육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2. 10 19
    • 대학원 교사 준공
  3. 10 15
    • 체육관 준공
  4. 10 5
    • 박물관의 동고관 준공
  5. 3 2
    • 사회개발연구소 설치

1969

  1. 12 27
    • 공과대학의 통신공학과, 응용물리학과를 폐지하고 금속공학과, 전기공학과를 신설
  2. 10 29
    • 가정관 준공
  3. 10 25
    • 학생지도연구소 설치
  4. 2 4
    • 경영대학원 설치 및 경영학과 신설인가

1968

  1. 12 26
    • 농과대학에 농업생물학과, 공과대학에 전자공학과, 통신공학과, 응용물리학과를 신설
    • 2부대학의 국문학과를 국어국문학과로, 영문학과를 영어영문학과로, 정치학과를 정치외교학과로, 상학과를 경영학과로 개편
    • 법경대학의 정치학과를 정치외교학과로, 상학과를 경영학과로 개편
    • 문리과대학의 국문학과를 국어국문학과로, 영문학과를 영어영문학과로, 수물학과를 수학과로, 미술학과를 회화과로, 음악과를 성악과로 개편
  2. 12 20
    • 학생군사훈련단 건물 준공
  3. 8 15
    • 제1본관 준공

1967

  1. 5 22
    • 동아대학교 방송국(DUBS) 개국
  2. 1 10
    • 박사학위과정에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축산학과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수학과, 가정학과, 체육학과를 신설하고 물리학과를 폐지

1966

  1. 12 26
    • 문리과대학에 음악과, 공과대학에 공업경영학과, 위생공학과, 화학공학과를 설치
  2. 6 13
    • 농과대학에 한국가축비육연구소 설치
  3. 4 6
    • 학교법인 동아대학교를 학교법인 동아학숙으로 개편
  4. 3 30
    • 법경대학 교사 준공
  5. 2 16
    • 박사학위과정에 철학과, 농학과 신설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철학과, 국어국문학과, 건축학과 신설

1965

  1. 11 5
    • 공과대학 실습관 준공
  2. 5 8
    • 농과대학에 한국농업기술연구소, 공과대학에 한국자원개발연구소 및 한국공장관리연구소 설치
  3. 2 17
    •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사학과, 상학과, 축산학과 신설
  4. 1 9
    • 문리과대학에 미술학과, 농과대학에 잠사학과, 공과대학에 도시계획학과를 신설

1964

  1. 6 2
    • 동아대학교 출판사 설치
  2. 3 11
    • 대강당 준공
  3. 1 18
    • 사립학교법 시행에 따라 재단법인 동아학숙을 학교법인 동아대학교로 변경

1963

  1. 12 16
    • 문리과대학의 국문학과, 영문학과, 가정학과와 법경대학의 정치학과를 복과
  2. 1 29
    • 석사학위과정에 화학과, 토목학과 신설
    • 대학원 박사학위과정을 설치하고 법학과, 경제학과 신설

1962

  1. 12 29
    • 법경대학의 상학과와 2부대학의 정치학과, 법학과를 복과
    • 문리과대학의 수학과, 물리학과를 수물학과로 통합개편하고 가정학과 폐지, 체육학과 신설
  2. 2 27
    • 동아대학교 병설 실업초급대학 설치인가
  3. 2 9
    • 대학정비 기준령에 의하여 문리과대학의 국문학과, 영문학과와 법정대학의 정치학과, 상학과를 폐지, 정규 2부대학의 인가와 함께 국문학과, 영문학과, 가정학과, 경제학과, 상학과, 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 기계공학과를 설치하고 철학과, 사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정치학과, 법학과를 폐지

1961

  1. 4 17
    • 제117 R.O.T.C. 창설

1960

  1. 10 1
    • 고전연구소 설치
  2. 2 20
    • 공과대학과 2부대학의 건축학과, 토목학과, 기계학과를 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 기계공학과로 개편문리과대학과 2부대학에 철학과, 농과대학에 축산학과를 신설
  3. 1 30
    • 농과대학 본관 준공

1959

  1. 4 1
    • 정재환 초대 총장 취임
  2. 2 26
    • 공과대학(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 기계공학과)농과대학(농학과, 원예학과)법정대학(정치학과, 법학과, 경제학과, 상학과)문리과대학(국문학과, 영문학과, 사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가정학과)종합대학교 승격 인가(4개 대학 16개 학과)

1958

  1. 10 1
    • 대학원 개원
  2. 9 18
    • 석사학위과정에 법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 영문학과, 물리학과, 농학과, 기계학과를 신설대학원 설치인가
  3. 2 4
    • 농학부의 농공학과를 폐지하고 문리학부에 가정학과, 법정학부에 상학과를 신설

1957

  1. 12 18
    • 중앙도서관 준공
  2. 12 8
    • 과학관 준공
  3. 2 10
    • 박물관 준공

1956

  1. 8 7
    • 제2학생회관(기숙사)준공
  2. 5 30
    • 임시 2부대학에 국문학과, 영문학과, 사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농학과, 농공학과, 원예학과, 건축학과, 토목학과, 기계학과를 설치
  3. 4 25
    • 임시 2부대학 설치(법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 상학과) 인가

1955

  1. 10 9
    • 제5관 준공
  2. 9 10
    • 제 3관 준공
  3. 3 7
    • 법정학부의 정치경제학과를 정치학과, 경제학과로 개편
    • 문리학부에 국문학과, 영문학과, 사학과, 화학과를 신설공학부를 설치하고 건축학과, 토목학과, 기계학과를 신설

1954

  1. 11 5
    • 본관 준공
  2. 1 30
    • 농학부를 설치하고 농학과, 농공학과, 원예학과 신설

1953

  1. 10 14
    • 정재환 학장 취임
  2. 9 10
    • 제2관 준공

1952

  1. 9 1
    • 법학부를 법정학부(법률학과, 정치경제학과)로 개편

1951

  1. 10 5
    • 교사를 부산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번지로 이전
  2. 2 19
    • 전시과학강좌 개설
  3. 2 12
    • 전시문화강좌 개설

1949

  1. 7 20
    • 제1회 졸업식 거행
  2. 4 1
    • 교사를 부산시 범1동 365번지로 이전

1948

  1. 6 15
    • 동아대학보 창간

1947

  1. 12 30
    • 문교부로부터 재단법인 동아학숙의 설립허가와 동아대학의 설립인가를 받아 법학부(법률학과), 문리학부(문학과,정치경제학과,수학과,물리학과)의 2학부 5학과를 설치

1946

  1. 11 1
    •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