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본 동아
-
나노기술의 '표준'이 되다 - 화학공학과 이헌상 교수
2010.10.28 조회수 4416
나노기술 국제표준화 승인, 나노 기술 강국으로최근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우리 대학 이헌상(화학공학과) 교수가 성공한 기술이 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 나노기술 분야(ISO/TC229)의 국제표준으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헌상 교수가 표준화에 성공한 이 기술은 이론 및 시험방법을 개발한 것으로, 복잡한 형태로 구부러지거나 엉켜있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복잡한 모양을 수치화 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란, 탄소원자 6개로 이뤄진 육각형들이 연결된 직경 1~10 나노미터 정도의 원통형(튜브) 모양을 갖춘 물질이다. 실리콘을 대신하는 전자소자로, 전력소비가 적은 초박형 텔레비전의 핵심부품이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복합소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탄소나노튜브는...
-
최덕규 교수 칼럼2 -좋은 정치란
2010.10.05 조회수 4529
최덕규 교수 칼럼2 -좋은 정치란최덕규 경영학과 교수 칼럼2좋은 정치란금년 추석은, 비가 와서 달을 볼 수 없었는데 추석 다음날인 오늘은 뒷산 소나무 숲 위로 보름달이 둥실 떠오르고 있다.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려는지 밤하늘은 더욱 청명하고 밤공기는 차고 서늘하다. 깊어가는 밤, 숲에 둘러싸인 시골집 서재에 앉아서 論語(논어)를 읽고 있노라니 寂靜(적정)한 境地(경지)를 얻은 듯하다. 오늘은 論語(논어) 子路(자로) 편 가운데 한 구절에서 마음이 계속 머물러 있다. 옛날에도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들(왕)은 聖人君子(성인군자)를 찾아서 좋은 정치를 위한 가르침을 구했던 모양이다. 초나라의 대부인 엽공이 공자에게 묻는다. “정치를 어떻게 해야 잘 하는 것입니까?&r...
-
교수업적평가 사회계열 우수교수, 최형림 교수
2010.10.04 조회수 72507
교수업적평가 사회계열 우수교수, 최형림 교수최형림 교수와 동아의 특별한 이야기우리 대학은 더 엄격해진 교수업적평가를 통해 계열별로 우수교수 16명을 선정했다. 과거 평가계열이 4개 계열에서 그쳤다면, 이번 평가는 8개 계열로 세분화함으로써 그 특성을 보다 정교하게 반영했다. 교육과 연구, 그리고 봉사의 영역별 점수와 순위, 평가 계열별 평균, 백분율 등을 이용해 선정된 우수교수 16명 중, 최형림(경영정보학과ㆍ사진) 교수를 만나 동아에 대한 그의 특별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경쟁력을 가지고 싶다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켜라“요즘 사회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시해요. 대학생 시절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우지 못하면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없어요. 요즘 학생들이...
-
마르크스의 『자본』 완역에 부쳐
2010.10.04 조회수 5069
마르크스의 『자본』 완역에 부쳐최근 마르크스의 『자본』을 완역한우리 대학 경제학과 강신준 교수.마르크스의 『자본』 완역에 부쳐강신준(동아대학교 경제학과)1986년 어느 날 한 금융기관의 조사부에 근무하고 있던 나는 출판사를 운영하던 친구로부터 퇴근하면서 잠깐 들러달라는 전화를 받았다. 퇴근길에 들른 출판사에서 나는 친구로부터 원고를 검토해 달라는 부탁을 받으면서 원고뭉치를 하나 건네받았다. 집에서 원고뭉치를 펼쳐든 나는 깜짝 놀랐다. 당시로서는 너무도 위험시되던 『자본』 제1권의 원고였던 것이다. 이후 이 원고는 우리나라 최초의 『자본』번역본으로 출판되었고, 나는 이때의 인연으로 제2권과 제3권의 번역을 맡았다. 그것을 출판하던 당시 나는 이것이 내 진로를 대학으로 바꾸리...
-
최덕규 교수 기고문 ‘공자의 경제사상’
2010.09.16 조회수 18188
최덕규 교수 기고문 ‘공자의 경제사상’홈페이지 ‘동아는 지금’의 지면을 다양화하기로 했다. 학생들을 비롯한 독자들에게 읽을거리와 지식의 저변을 확장할 수 있는 글감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 대학 교수님들의 각종 원고 및 활동, 우리 대학 동문들의 다채로운 삶과 그 현장 등을 담아 여러 모습으로 지면을 장식할 것이다. -편집자 註 ■우리 대학 최덕규 경영학과 교수 기고문공자의 경제사상眞鏡 崔德圭 敎授(經營學科)지금 세상은 누구나가 경제적 동기를 가지고 살고 있다. 개인과 기업은 물론이고 종교단체도 예술문화단체도 경제적인 뒷받침이 없으면 존립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모두들 경제적 이윤추구에 혈안이 되어 있다. 그러나 지나친 경제적 이윤추구...
-
강신준 경제학과 교수, 『자본론』獨원전 최초 국역
2010.09.13 조회수 4938
강신준 경제학과 교수, 『자본론』獨원전 최초 국역최근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 독일어판 원본을 최초 한국어로 번역해 5권으로 출간한 우리 대학 경제학과 강신준 교수가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20여 년간 매달려 최근 5권 출간강 교수 “경제적 이익보다 인간의 가치 더 중요”다시 ‘자본론’이다 전 세계에서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이자, 지난 1천 년간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책으로 평가받는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Das Kapitalㆍ이하 『자본론』)이 최근 한 경제학자에 의해 새로운 날개를 달고 세상에 나왔다. 시중에 나와 있는 번역본 『자본론』은 많지만 독일어 원전이 번역돼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87...
-
노벨상 수상자 '아론 세하노버 박사'
2010.08.23 조회수 72189
노벨상 수상자 '아론 세하노버 박사'노벨상 수상자, 우리 대학 처음 방문하다2004년 노벨화학상 수상, 아론 세하노버 박사2004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이스라엘의 아론 세하노버(사진) 박사. 그가 오는 26일 노벨상 수상자로는 처음으로 우리 대학교를 방문한다. 이날 오후 2시 부민캠퍼스 김관음행홀에서 부산 시내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초청 강연을 하기 위해서다.아론 박사가 23~28일 일정으로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제20회 국제물리유기화학회 학술대회'에 참석해 오는 27일 오전 9~10시 '프로테아즘에 의해서 단백질분해가 일어날 때 중요한 복사억제제 역할에 대한 2단계 메카니즘' 주제의 기조강연을 하기로 돼 있다. 우리 대학은 이 행사와 관련, 그를 초청해 ...
-
저서 2권 동시 발간 국어국문학과 하치근 교수
2010.08.03 조회수 61251
저서 2권 동시 발간 국어국문학과 하치근 교수국어와의 운명을 말하다평생 무언가를 내 운명이라, 인연이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나 행복한가. 평생을 찾아 헤매도 자신의 운명이라 부를 수 있는 무언가를 찾지 못한 사람들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국어국문학과 하치근 교수는 ‘국어는 내 운명’이라고 당당히 말한다. 2010년 8월 퇴직을 앞두고 찾은 그의 연구실은 책꽂이를 가득 채웠던 책들이 반쯤 비워진 채였다. 그곳에서 그를 만났다.98점이 바꿔준 인생그가 어떻게 국어를 시작했는지 궁금해져 앉자마자 이야기를 시작했다. 하 교수가 초등학교 6학년 때 담임선생님이 반 아이들에게 글짓기를 시키셨다고 한다. 다음날 점수를 발표했는데 그는 반에서 98점으로 1등을 ...
-
<조규향 총장 특집 인터뷰> 파이낸셜 뉴스 2010.03.19
2010.03.25 조회수 892
동아대학교 조규향 총장(파이낸셜 뉴스 제공)“경쟁력 갖춘 인력 키우는 내실 있는 대학 만들 것”‘교육 행정의 달인’ 조규향 동아대 총장의 꿈"대학의 양적 팽창보다는 기본으로 돌아가 내실 있는 대학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지난 2008년 8월 제13대 동아대 총장으로 취임한 조규향 총장(68)은 △졸업인증제 △대학교수 평가제 △학과 평가제 등을 통해 동아대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앞장서고 있다.조 총장은 "점차 열악해지는 지방 사립대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대학 본연의 자구적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졸업인증제나 대학교수 평가제, 학과 평가제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지방 대학으로서의 한계를 극복...
-
<조규향 총장 특집 인터뷰> 파이낸셜 뉴스 2010.03.19
2010.03.25 조회수 881
“경쟁력 갖춘 인력 키우는 내실 있는 대학 만들 것”‘교육 행정의 달인’ 조규향 동아대 총장의 꿈"대학의 양적 팽창보다는 기본으로 돌아가 내실 있는 대학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지난 2008년 8월 제13대 동아대 총장으로 취임한 조규향 총장(68)은 △졸업인증제 △대학교수 평가제 △학과 평가제 등을 통해 동아대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앞장서고 있다.조 총장은 "점차 열악해지는 지방 사립대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대학 본연의 자구적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졸업인증제나 대학교수 평가제, 학과 평가제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지방 대학으로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동...